본문 바로가기
경제 및 부동산

무더운 여름 에어컨 풀가동...걱정되는 전기제 줄이는 꿀팁!

by 웅형~ 2021. 7. 27.
728x90

안녕하세요

 

몇일째 폭염으로 저희집에서도 애들때문에 에어컨을 틀고 잠든지 오래 되었는데요..

 

에어컨 틀고자면 ...시원해서 좋긴한데.. 이게 전기세 걱정에..자다가 깨서 전원을 껏다가 다시 더워서 키기를 반복하게 되는데요

 

더군다나.. 냉방보다는 제습이 전기세가 덜 나오겠지라는 생각으로 항상 잘때는 제습모드를 해놓고 잠들곤 합니다 

 

오늘은 이런 카더라 통신에 의한 의문을 제대로 한 번 집고 넘어 갈려고 합니다.

에어컨 전기세 절약


1. 켯다가 시원해지면 끄고 더워지면 다시 킨다?

 

- 이는 에어컨의 분류에 따라 답이 나눠진다고 보면 됩니다.

- 정속형 에어컨은 '등속운전'이고 인버터형은 사용조건에 따라 '강약조절'이 가능한데

- 정속형 : 온도변화의 영향을 받지않고 고정 출력

- 인버터형 : 더우면 강하게, 덜 더우면 약하게 출력

 

- 따라서, 인버터형은 온도설정만 잘해주면 정해진 온도에 도달 후 최소로 가동이 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. 그래서 인버터형은 자주 껏다 켯다를 반복하면 오히려 절전에 도움이 안된다는 결론이다.

 

- 18평형 에어컨을 기준으로 35도에서 26도까지 내리는데 0.8kW ~1kW전력이 듭니다. 26도가 되고면 한시간 동안 에어컨을 틀어도 0.3kW 정도의 전력만 필요하다고 합니다.

 

- 정속형 에어컨은 항상 정해진 파워로 바람이 나오기 때문에 자주 전원을 켜주고 꺼주는게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된다.

 

2. 제습모드는 냉방모드보다 전기세가 덜 나올까~?

 

- 기본적으로 냉방보드나 제습 모드나 에어컨이 가동되는 원리는 똑같기 때문에 별 차이는 없습니다.

 

- 가정 환경마다 습도가 유지되는 밀폐성이 다르기 때문에 제습으로 튼다고 전기세가 더 적게 나온다고 말하긴 어렵다는 것이다.

 

- 당연한 이야기이지만, 습도가 높은 집은 제습으로 했을 경우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올 것이고, 습도가 낮다면 전기세가 더 적게 나올수 있다고 전자업계에서는 설명 합니다.

 

- 냉방이냐 제습이냐의 차이는 습도를 조절할지.. 온도를 조절 할지의 차이로 보시는 것이 맞는것 같습니다.

 

 

3. 에어컨 적정 설정 온도는 몇도일까~?

 

- 에어컨의 적정 온도는 사용자의 성향, 더위를 타는 정도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밖에 없지만.

 

- 경제적으로 가동하고 싶다면 설정온도를 잘 고민해야된다.

 

- 전기 효율성 측면으로 본다면 '설정온도가 높을수록 적기요금은 적게든다' 이게 정답이다.

 

-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에서는 냉방온도 1도를 상승할 경우 4.7%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.

 

- 집의 구조가 열차단이 잘 되어있다면 27~28도를 설정해도 시원함을 느낄수 있다.

 

 4. 에어컨 필터 청소로 냉방효율 높이기

 

- 에어컨 필터에 먼지가 끼게되면 냉방 성능을 떨어트리는 것은 그로인해 냉방운전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.

 

- 주기적으로 청소를 한다면 한달에 10kWh 정도를 절약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